내면아이의 상처 치유하기_우리가 자신을 보호하는 4가지 방식
자신을 보호하면 내면아이와 단절된다
성인자아가 자신의 감정, 내면아이의 고통, 기쁨에 책임을 지는 대신 마음을 닫고 자신을 보호하기로 선택하면 내면 아이와 단절된다. '보호하다'라는 말의 부정적인 뜻으로는 성인자아가 내면아이의 고통이나 그에 대한 책임을 회피한 채 자신을 보호하고 방어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보호하다'의 긍정적인 뜻으로는 성인자아가 마음을 열고 배우려는 의지를 가지고, 사랑을 베풀면 내면아이를 보호하는 것이다.
자신을 보호하려고 하는 이유는 스스로의 고통을 감당할 수 없거나 나를 치유 할 수 있는 것은 외부에서 온다는 잘못된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치유 뿐 아니라 고통이나 불폄함도 외부에서 온다고 믿는다. 그 결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보호하려고 한다.
우리가 자신을 보호하는 4가지 방식
1. 물질, 활동, 사람에 대한 중독
공허함을 채우고 고통을 잊기 위해 내면아이는 다양한 중독에 빠진다.
- 물질중독 : 음식, 설탕, 담배, 카페인, 약물, 알코올 등
- 과정, 물건, 활동에 대한 중독 : TV/유튜브 등의 영상 시청, 일, 독서, 운동, 권력, 도박, 쇼핑, 돈, 잠, 도벽 과거 곱씹기, 걱정, 고통, 수다, 명상, 드라마, 위험, 성적 매력, 종교 등
- 사람에 대한 중독 : 관계 ,섹스, 연애, 사랑, 인정 등
성인자아에게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내면아이는 '다른 사람'의 사랑과 인정에 의존한다. 부모에게 버려졌다는 감정이 들기 때문이다. 이는 다른 사람에게 거부당하고 버림받을까 하는 두려움(나), 혹은 다른 사람에게 조종당하고 압도당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남편)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두려움은 통제적이고 저항적인 행동으로 이어져 결국은 문제가 많은 결혼이나 가족 관계를 낳는 악순환을 경계된다.
2. 노골적인 통제
우리는 자라면서 수많은 통제와 조종하는 방식을 배우면서 자란다. 가장 흔히 보이는 것이 죄책감과 두려움을 주입하는 방식이다.
- 통제 방식 : 분노, 비난, 성질부리기, 위협, 거짓말, 폭력, 짜증, 조용하게 사랑을 거두어가는 방식, 상대를 인정하지 않기 ,망신주기, 욕하기, 비판, 심문, 비난, 잔소리, 설명, 정의 들먹이기, 자신의 감정 털어놓기, 못마땅한 표정, 눈물 보이기 등
남을 조종하거나 통제하고자 할 때 주로 말이 아니라 목소리를 날카롭게 하거나 입을 꾹 닫아버리고 차가운 시선 등의 '어조'나 '시선을 이용한다. 상대방을 조종하려는 의도를 절대 숨길 수 없다. 의도란 우리가 내는 에너지를 통해 드러나기 때문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방어적인 의도를 가진 것이 느껴진다면, 아무리 상대방이 그 사실에 대해 부정한다고 해도 당신의 느낌이 맞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자신이나 타인에게서 느껴지는 에너지를 구분하고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3. 은밀한 조종
은밀한 조종이란 칭찬, 보살핌, 친절함, 유혹 등을 이용해서 다른 사람이 자신을 좋아하거나 인정하도록 만드려는 것을 말한다. 또는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거나 자신은 원하지 않는데도 다른 사람이 원하는대로 따를 수도 있다.
자신이 인정을 받거나 상대방의 비판적인 시각을 피하기 위해 무언가를 준다면, 우리는 상대를 주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행동 뒤에 숨은 진짜 의도는 타인에게 베푸는 행동이 아니라 무언가를 받거나 회피하려는 의도이다.
칭찬은 다른 사람을 조종하려는 은밀한 방식의 하나로 사용 될 수 있는데 진정한 칭찬인지는 하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달라진다. 조건적으로 칭찬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상황이 이어지지 않을 때 못마땅한 감정을 드러낸다.
타인의 시중을 드는 쪽의 사람은 은밀한 행동 방식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사랑이나 감사를 얻지 못했을 경우, 본노 같은 노골적인 조종 방식을 사용한다. 즉, 내면의 단절과 그에 따른 의존 성향이 발생할 때마다 노골적 조종 방식과 은밀한 조종 방식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이다.
4. 저항
자신의 온전한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타인에게 반항해야 한다는 잘못된 믿음으로 저항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자신에게 어떤 것을 원할 때마다 저항하면서 사랑하는 사람이나 배우자, 부모, 자녀, 동료와 힘겨루기를 하게 된다.
- 저항 방식 : 부정, 방어, 지연 행동, 반항, 수동적인 행동, 무책임, 무관심, 관계 끊기, 완고함, 태만, 무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