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ieU's life/슬기로운아내생활

비폭력대화연습]부탁을 잘 들어주지 않는 남편이 너무 서운해, 부탁이라는 가면을 쓴 강요

genieU89 2024. 3. 5. 13:15

지난 일요일 우리 가족은 정말 오랜만에 당일치기 여행을 갔었다. 아침일찍 떠난 여행이라 아침밥은 휴계소에서 간다하게 먹기로 했다. 남편은 라면, 나는 아이와 함께 우동을 먹고 있었다. 남편이 라면을 먼저 다 먹고 나는 아이 밥 먹이기 바빴다. 약속장소에서 부모님이 먼저 도착해서 기다리고 계셔서 나는 급한 마음에 남편에게 바로 출발 할 수 있도록 따뜻한 커피와 호도과자를 사와달라고 부탁했다. 남편은 사는데 얼마 걸리지 않을테니 그냥 밥 다먹고 같이 나가서 사자라며 내 부탁을 거절?을 했다. 나는 순간  '그냥 좀 사다주면 되지 뭘 또 같이 가서 사자 그러지? 그렇게 내 부탁을 들어주기 싫은가?'라고 정말 자동적으로 이런 생각이 떠오르면서 기분이 나빠졌다. 내가 기분 나쁜 티를 내자 남편도 한동안 기분이 좋지 앟는 얼굴이었다. 그렇게 우리는 말없이 목적지까지 도착했다. 즐거워야 할 여행길을 망쳐버린 순간이었다.

 

우리 부모님은 나의 부탁이라면 왠만해서는 무조건 들어주시는 분들이었다. 특히 아버지는 왕복 2시간이 걸리는 거리에도 나를 태우러 온다던지 이것 좀 사다달라고 하면 무조건 해주셨다.

 

이제 내가 어른이 되고나니 부모님께서 나에게 무언가를 부탁할 일들이 잦아졌다. 나는 그런 부탁을 들을 때 내가 해 줄 수 있는건 해드리지만 거절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거절을 하면 부모님은 너무 서운한 마음을 내비추셨다. 그럴때마다 나는 마음이 너무 좋지 않고 무거웠다. 뭔가 부모님의 부탁은 부탁이 아닌 강요처럼 느껴졌다. 

 

아마도 지난 여행 때 내 부탁을 거절한 남편에게 기분이 좋지 않은 티를 내보였을때 들었던 남편의 마음도 이러지 않았을까란 생각이 들었다. 맞다. 나는 내가 부탁이라고 했던 행동이 남편에게 강요를 한 것이었다. 진짜 부탁은 거절을 하더라도 '그렇구나'라고 상대방의 입장을 인정하는게 부탁이지 '어떻게 내 부탁을 안들어줄 수 있어?'라는 생각을 한 부탁은 부탁이 아니라 강요인 것이다. 

 

나는 언제나 내 부탁을 들어주지 않는 남편이라고
섣불리 도덕주의적 판단 했고,
내 가치관(가족에게 대한 헌신)과 벗어난 행동을 한 남편을
비난 한 것이다.

 


2장 연민을 방해하는 대화

도덕주의적 판단

도덕주의적 판단이란 자신의 가치관과 맞지 않는 사람의 행동을 나쁘다거나 틀렸다고 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아래와 같이 비난, 모욕, 비하, 분석, 꼬리표 붙이기 등이 모두 판단하는 말들이다. 

- 너는 너무 이기적이어서 문제야

- 우리 애는 너무 게을러

- 부장은 너무 편파적이야

 

이런 언어를 사용할 때,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 뭔가 잘못 됐다는 관점에서 생각하고 말하게 된다. 잘못을 따지고 분석하기 보다는 자신이나 상대방이 진정 원하는 것(자신의 욕구)이 무엇인지에 대해 촛점을 맞춰야 한다. 

 

내가 주는 것보다 더 많은 애정을 아내가 원한다고 느끼면 아내를 '의존적이고 애정결핍이 있는 여자'라고 판단하고 반대로 아내가 표현하는 거보다 더 많은 애정을 내가 바랄때는 '냉정하고 둔한 여자'라고 판단해 버린다. 

 

이런 판단 속에서 나온 나의 가치관과 욕구를 상대방에게 표현한다면 상대방은 거부감을 가지고 방어와 저항을 하게 된다. 혹여 상대방이 잘못 되었다는 내 불만에 동의하고 나의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더라도 상대방의 내면의 마음에는 두려움, 죄채감, 수치심을 가지며 나온 행동일 것이다. 상대방이 자신의 마음에서 우러나와서가 아닌 두려움, 죄책감, 수치심 때문에 나의 욕구와 가치관을 따라준다 하더라도 나중에는 점점 나에게서 거리를 두기 시작할것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가치 판단'과 '도덕주의적 판단'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다.  '가치판단'이란 정직, 자유 평화와 같이 삶에서 소중히 여기는 것에 대한 판단을 뜻하며 가치 판단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욕구를 충족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여겨지게 만드는 요소이다. 나의 가치 판단과 맞지 않는 행동를 하는 사람들에게 대하여 '도덕주의적 판단'을 내린다. 

보편적인 인간의 가치관

 

비교하기

비교는 판단의 한 형태이다. 

 

책임 부정하기

아래와 같은 표현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모호하게 하고, 자신의 느낌과 생각에 대한 책임을 쉽게 부정 할 수 있는 말들이다.

  • 막연하고 일반적인 이유 : "다들 가니까 나도 대학에 간다."
  • 상황, 진단, 개인적 또는 심리적 내력 : "나는 알코올 중독자라서 술을 마신다."
  • 다른 사람의 행동 : "아이가 찻길로 뛰어들어서 아이를 때렸다."
  • 권위자의 지시 : "상사가 시켜서 고객에게 거짓말을 했다."
  • 집단의 압력 : "친구들이 모두 담배를 피워서 나도 피우기 시작했다."
  • 내규, 규칙, 규정 : "학교 교칙에 따라서 나는 너에게 정학 처분을 내룰 수 밖에 없다."
  • 성별, 사회적 지위, 연령에 따른 역할 : "일하러 가기싫다. 하지만 나는 처자식이 있는 가장이기 때문에 가야 한다."
  • 억제할 수 없는 충동 : "초콜릿을 먹고 싶은 충동을 억제할 수 없었다."

 

삶을 소외시키는 다른 형태의 대화 방법들

자신의 생각과 가치를 다른 사람이 하도록 강요하는 것도 연민을 막는 의사표현 방법이다. 강요는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벌이나 비난이 따르리라는 위협을 암시적으로 분명하게 내포하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의사표현 형태인데, 특히 힘을 가진 지위의 사람들이 많이 쓰는 방법이다.